본문 바로가기

Programming/보안

암호 분석(암호 해독)의 공격 분류

번역된 것은 아주 가관임. 차라리 영어로 보는 것이 이해가 쉬움...
해독이 어려운(공격자 입장에서)것 부터 쉬운 것 순 나열이다.
영어로 보는것이 이해가 편하다.

cipher-text only attack

COA : 암호문 단독 공격
공격자가 가진것이 암호문 밖에 없는 상황이다. 따라서, 공격자는 암호문 만을 가지고 평문을 추론해야 하므로 고전적인 치환암호,전치 암호가 아닌 현대 암호학에선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공격 방식이다.

known plain-text attack

KPA : 기지('이미 앎') 평문 공격
몇몇 암호문에 해당하는 평문을 아는 상태이다(몇 가지 암호문-평문 조합을 공격자가 아는 상태). 암호문 단독 공격에 비해서 조금 더 공격자에게 유리한 상황이지만 한정된 조합을 가지고서는 공격에 한계가 있다.

chosen plain-text attack

CPA : 선택 평문 공격
전제조건 = 선택된 평문을 가지고 암호문을 얻을 수 있어야 함.
암호화 메커니즘은 모르지만 원하는대로 선택한 평문을 암호화 하여 볼 수 있는 상태이다. 전사 공격(Bruteforce attack)을 이용하여 암호문을 역으로 해독하는 걸 시도 가능.

chosen ciper-text attack

CCA : 선택 암호문 공격
암호문을 고르면 복호화된 평문을 얻을 수 있다. 이러한 상황까지 왔다면 이미 수 많은 공격이 가능한 상태이다. 암호화된 데이터들이 있다면 해독하여 평문을 취할 수 있다. *복호 오라클을 공격자가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 공격이다.
복호오라클(Decryption Oracle) : 임의의 데이터를 송신하면 그것을 암호문으로 간주하고 회신 해주는 서비스

참조문헌

[1] : "지식잡식", 암호-분석암호-해독의-공격-분류